istanbulsokak 님의 블로그

istanbulsokak 님의 블로그 입니다. 튀르키예 역사와 한국의 역사를 비교 분석. 튀르키예의 사회, 경제 및 금융, 부동산, 법 체계, 문화, 스포츠, 관광지, 음식 설명. 한국의 사회, 경제 및 금융, 부동산, 법 체계, 문화, 스포츠, 관광지, 음식 설명.

  • 2025. 3. 22.

    by. istanbulsokak

    목차

      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8년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된 1945년까지는 오스만 제국과 조선 모두 커다란 변화를 겪은 시기였다.
      오스만 제국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하여 해체되었고, 1923년 튀르키예 공화국이 설립되었다.
      반면, 조선은 일제강점기(1910~1945) 속에서 혹독한 식민 통치를 겪다가 1945년 해방을 맞이했다.


      이 글에서는 두 나라의 변화를 정치·경제·사회·군사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자세히 살펴보겠다.

       

      1. 1차 세계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과 조선

      1) 오스만 제국: 패전과 해체 (1918~1922)

      오스만 제국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오스트리아-헝가리와 함께 동맹국 편에서 참전했으나, 1918년 패배하면서 국가 해체 위기에 처했다.

      • 1918 10 30: 오스만 제국은 연합국과 무드로스 휴전 협정을 체결하고 사실상 전쟁에서 항복했다.
      • 1920 8 10: 연합국은 오스만 제국과 세브르 조약을 체결하여 영토를 강제로 분할하려 했다.

      이로 인해 오스만 제국 내부에서는 강한 반발이 일어났고,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Mustafa Kemal Atatürk)의 지도하에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2) 조선: 3·1운동과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변화 (1918~1922)

      조선은 1910년 일본에게 완전히 병합된 이후, 1910년대는 헌병경찰제를 앞세운 무단통치 시기였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민족운동이 활성화되었다.

      • 1919 3 1: 3·1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는 일본의 식민통치 방식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1919: 일본은 조선에서 문화통치(소프트한 식민 정책)를 도입하여, 언론과 교육을 부분적으로 허용했지만, 본질적으로 식민지 수탈 정책은 지속되었다.
      • 192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년 상하이에서 수립)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이 해외에서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2. 1923: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과 일본의 조선 지배 강화

      1) 오스만 제국의 완전한 해체와 튀르키예 공화국 탄생 (1923)

      무스타파 케말은 오스만 제국의 해체를 막고 튀르키예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 튀르키예 독립전쟁(1919~1922)을 이끌었다.

      • 1922: 오스만 제국의 술탄제 폐지술탄 메흐메트 6세 망명
      • 1923 7 24: 로잔 조약 체결세브르 조약 무효화, 튀르키예 공화국의 국경 확정
      • 1923 10 29: 무스타파 케말이 초대 대통령이 되어 튀르키예 공화국 정식 수립

      무스타파 케말 아타튜르크 공화국 선포
      무스타파 케말 아타튜르크 공화국 선포

       

      2) 조선: 1920~1930년대, 식민 지배 강화와 민족운동 확산

      • 1925: 조선 공산당 결성사회주의 운동 확산
      • 1931: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켜 본격적인 대륙 침략 개시
      • 1936: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며 조선의 독립 열망 부각
      • 1937: 중일전쟁 발발조선에서 더욱 강력한 병참 기지화 진행

       3. 2차 세계대전과 조선·튀르키예 (1939~1945)

      1) 튀르키예: 중립국 유지 (1939~1945)

      • 튀르키예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중립국 정책을 유지했다.
      • 1945 2: 독일과 일본에 선전포고하여 연합국에 합류했다 (전후 유엔 창설국가로 참여)

       2) 조선: 일본의 전쟁 동원과 해방 (1939~1945)

      • 1939~1945: 조선은 일본의 전쟁 수행을 위한 병참 기지로 활용되고 있었다.

      1945년8월15일 조선 해방
      1945년8월15일 조선 해방

       

       4. 오스만 제국과 조선의 비교 도표 (1918~1945)

      구분 오스만 제국튀르키예 조선
      1918~1922 1차 세계대전 패전
      영토 분할 위기
      일제강점기,
      3·1운동 발생
      1923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 일본의 문화통치 본격화
      1930년대 근대화 개혁 가속 일본의 식민지 지배 강화
      1939~1945 2차 세계대전 중립
      종전 직전 연합국 합류
      일본의 전쟁 동원 정책,
      1945 8 15일 해방

       

      5. 결론

      1918년부터 1945년까지 오스만 제국과 조선은 모두 큰 변화를 겪었다.

      • 오스만 제국은 해체되었지만, 무스타파 케말 아타튜르크의 주도 아래 튀르키예 공화국으로 다시 태어났다.
      • 조선은 일본의 지배 속에서 혹독한 시기를 보냈으나, 1945년 해방을 맞았다.
      • 두 나라 모두 전쟁과 식민지배를 겪으며 독립과 주권 회복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