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8년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된 1945년까지는 오스만 제국과 조선 모두 커다란 변화를 겪은 시기였다.
오스만 제국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하여 해체되었고, 1923년 튀르키예 공화국이 설립되었다.
반면, 조선은 일제강점기(1910~1945) 속에서 혹독한 식민 통치를 겪다가 1945년 해방을 맞이했다.
이 글에서는 두 나라의 변화를 정치·경제·사회·군사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자세히 살펴보겠다.1.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과 조선
1) 오스만 제국: 패전과 해체 (1918~1922)
오스만 제국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오스트리아-헝가리와 함께 동맹국 편에서 참전했으나, 1918년 패배하면서 국가 해체 위기에 처했다.
- 1918년 10월 30일: 오스만 제국은 연합국과 무드로스 휴전 협정을 체결하고 사실상 전쟁에서 항복했다.
- 1920년 8월 10일: 연합국은 오스만 제국과 세브르 조약을 체결하여 영토를 강제로 분할하려 했다.
이로 인해 오스만 제국 내부에서는 강한 반발이 일어났고,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Mustafa Kemal Atatürk)의 지도하에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2) 조선: 3·1운동과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변화 (1918~1922)
조선은 1910년 일본에게 완전히 병합된 이후, 1910년대는 헌병경찰제를 앞세운 무단통치 시기였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민족운동이 활성화되었다.
- 1919년 3월 1일: 3·1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는 일본의 식민통치 방식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1919년: 일본은 조선에서 문화통치(소프트한 식민 정책)를 도입하여, 언론과 교육을 부분적으로 허용했지만, 본질적으로 식민지 수탈 정책은 지속되었다.
- 192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년 상하이에서 수립)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이 해외에서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2. 1923년: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과 일본의 조선 지배 강화
1) 오스만 제국의 완전한 해체와 튀르키예 공화국 탄생 (1923년)
무스타파 케말은 오스만 제국의 해체를 막고 튀르키예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 튀르키예 독립전쟁(1919~1922)을 이끌었다.
- 1922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제 폐지 → 술탄 메흐메트 6세 망명
- 1923년 7월 24일: 로잔 조약 체결 → 세브르 조약 무효화, 튀르키예 공화국의 국경 확정
- 1923년 10월 29일: 무스타파 케말이 초대 대통령이 되어 튀르키예 공화국 정식 수립
무스타파 케말 아타튜르크 공화국 선포 2) 조선: 1920~1930년대, 식민 지배 강화와 민족운동 확산
- 1925년: 조선 공산당 결성 → 사회주의 운동 확산
- 1931년: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켜 본격적인 대륙 침략 개시
- 1936년: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며 조선의 독립 열망 부각
- 1937년: 중일전쟁 발발 → 조선에서 더욱 강력한 병참 기지화 진행
3. 제2차 세계대전과 조선·튀르키예 (1939~1945년)
1) 튀르키예: 중립국 유지 (1939~1945년)
- 튀르키예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중립국 정책을 유지했다.
- 1945년 2월: 독일과 일본에 선전포고하여 연합국에 합류했다 (전후 유엔 창설국가로 참여)
2) 조선: 일본의 전쟁 동원과 해방 (1939~1945년)
- 1939년~1945년: 조선은 일본의 전쟁 수행을 위한 병참 기지로 활용되고 있었다.
1945년8월15일 조선 해방 4. 오스만 제국과 조선의 비교 도표 (1918~1945)
구분 오스만 제국 → 튀르키예 조선 1918~1922년 제1차 세계대전 패전 →
영토 분할 위기일제강점기,
3·1운동 발생1923년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 일본의 문화통치 본격화 1930년대 근대화 개혁 가속 일본의 식민지 지배 강화 1939~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중립 →
종전 직전 연합국 합류일본의 전쟁 동원 정책,
1945년 8월 15일 해방5. 결론
1918년부터 1945년까지 오스만 제국과 조선은 모두 큰 변화를 겪었다.
- 오스만 제국은 해체되었지만, 무스타파 케말 아타튜르크의 주도 아래 튀르키예 공화국으로 다시 태어났다.
- 조선은 일본의 지배 속에서 혹독한 시기를 보냈으나, 1945년 해방을 맞았다.
- 두 나라 모두 전쟁과 식민지배를 겪으며 독립과 주권 회복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국가별 역사 비교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튀르키예와 한국은 비슷한 듯 다른가? 10가지 핵심 현대사 이슈 정리 (0) 2025.03.25 무스타파 케말 아타튜르크: 튀르키예 공화국의 창시자 (0) 2025.03.22 오스만 제국의 제1차 세계대전 참전 배경과 결론 (0) 2025.03.22 20세기(1900년~1999년): 오스만 제국의 멸망과 대한제국의 수립 (1) 2025.03.21 돌마바흐체 궁전의 건립 배경 및 역사적 의미 (0) 2025.03.20